먼저 저장소를 만든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4Bjk/btr2r32286z/kTKYoutESMc5kdhl1cN7Zk/img.png)
저장소 이름은 적절히..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eggm/btr2Fe8Vv8M/ldgtFRvX2oTmKaRQ9Jga5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xi56/btr2u0YGc9X/zKXdoRvZo5kPYHOZM4i39K/img.png)
이제 이클립스로 이동하여 github에 올릴 project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prOjd/btr2FeOCMT9/YBsavM7f1IF9yzqKjWuRRK/img.png)
그러면 Git 저장소 설정 다이얼로그가 나온다.
첵크박스를 첵크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BUyJ/btr2DE79Wc9/n4EhkDyyZjwpIfYeZXbD8K/img.png)
번호 순서대로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GIUz/btr2FcJ2RQ6/S9ruuDFfULpawWiTB7qLBK/img.png)
이제 git파일 작성되었다.
다시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하고 Team/Commit... 을 선택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cEkJ/btr2D4yJutR/KnI9Cd96pCkQoyRe3TjGBk/img.png)
그러면 밑쪽에 Git Staging이 실행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RyRk/btr2tDbDFFO/z44BueMQhLBSPmC9ZX9tVk/img.png)
모두 선택한 후에 밑으로 드레그하고 commit message를 원하는 단어를 기입하고
commit an Push를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7BnY/btr2FfUiMB7/dPEjOrQb6u5fTQfF4d29D1/img.png)
그러면 다음과 같은 다이얼로그가 나온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eKBi/btr2D3T6Sus/Wkjbe23tzntqfYMpFmacUk/img.png)
github 사이트에 url을 copy하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Q3p9/btr2C8azFjP/U7df9khOxRlTBJrFGvI5o1/img.png)
붙여 넣기하고 Preview를 클릭한다.
(Authentication의 User와 Password는 작성안해도 된다 - 메일로 확인하는 처리로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9CFIk/btr2vVCRa7r/pFg9lyi07JCrI1FRnh5od0/img.png)
Preview를 클릭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Ub34/btr2ufPqJVe/PGrxYe2nuo7sHb9piWitq1/img.png)
다음과 같이 나오면 User에는 github사이트의 Profile(id)를 기입하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y80C/btr2sW3BNwL/3vpKiNYhnLsVRjTR9KlKVK/img.png)
패스워드는 토큰을 넣어야 한다.
이제 github사이트에서 토큰을 생성한다.
(Can't connect to any URI 에러가 나온 경우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0xdp/btr2xTY5pND/hVaMobsb3k1y8KpmFrxV40/img.png)
github 세팅에 들어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vAP6/btr2vTZryyS/Kj7i0MZo2CuXyXhsx6cKp1/img.png)
Developer settings에 들어가 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sBxi3/btr2xT5Phkd/YvVTUjoTTdZ1qBkjkQqpi1/img.png)
Tokkens를 선택하고 Generate new token을 선택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fqaY/btr2toyXVki/0Baxo6fqX6gKzwYSDew5m0/img.png)
Note 는 적당한 단어를 기입한다. 만료는 기간을 정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2e78/btr2FhxOLre/OtdnJpew6yrDkGD2j0UHHK/img.png)
허용범위는 구글검색을 해보니 보통 repo/read:org/gist 체크한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ArmH/btr2FgFFFk6/xA7McQhSfp3eyNvSXkoJfK/img.png)
Generate token 를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KNIad/btr2D6wxKLE/kkrutYz43FxMkVqESznVe0/img.png)
토큰 비번 복사해서 이클립스 Commit and Push 할때 입력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Yksbl/btr2ufIxiuB/3kcJXCjCkVMyZ1da5F0K70/img.png)
다시 이클립스로 와서 위의 비번은 Password에 입력한다.
(ID는 깃허브의 ID 그대로 넣어주면 된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CMlWa/btr2r5Nflyk/qBjQwcKdJlqORpwbdKZKE1/img.png)
Log in 이 되면 다음의 다이얼로그가 나온다.
Push를 클릭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a0cg/btr2zlVAXv2/3g9LM4exQYioCBdC7METz0/img.png)
다시 로그인 다이얼루그가 나오면 (위와 같이)입력하고 로그인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ES1g/btr2D9z1TFq/trMSxJWEkHHJYiOvlZQ0bK/img.png)
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성공한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kNhd/btr2FfGLlJ2/kIC81qYye1zNgHkvYLTUhK/img.png)
이제 github로 가서 확인해 보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piIN/btr2xSsmBi1/jCy3kcoOSi9DHBLiD910Tk/img.png)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I] 0330 네이버클라우드 활용하기 STT, CFR, CSS, OCR, Chat Bot 등 (0) | 2023.03.30 |
---|---|
[깃허브] collaborator 추가하기 (0) | 2023.03.07 |
[깃허브]GitHub Branch로 올리고 Master에 Merge(통합)하기[출처] GitHub Branch로 올리고 Master에 Merge(통합)하기 (0) | 2023.03.07 |
크롤링(crawling), jsoup (0) | 2023.02.17 |
[Github] 레포지토리 생성, 깃허브 업로드 (0) | 2023.02.10 |
댓글